본문 바로가기
강한자만살아남던 80년대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by memewave 2024. 6. 12.

시티팝(City Pop)

시티팝(City Pop)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일본에서 유행했던 음악 장르입니다. 이 장르는 주로 서구의 팝, 록, 재즈, 펑크, 소울 등의 요소를 일본 특유의 감성으로 융합한 음악 스타일로, 도시적이고 세련된 분위기를 특징으로 합니다. 시티팝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도시적 테마

시티팝의 가사와 음악적 분위기는 주로 도시 생활, 여름, 바다, 드라이브 등의 테마를 다룹니다. 도시의 세련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음악입니다. 일본의 버블경제시대와 시티팝은 일맥상통합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다양한 음악적 요소

시티팝은 팝, 록, 재즈, 펑크, 디스코 등 다양한 장르의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냈습니다.

 

첨단 기술의 사용

당시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전자악기와 신시사이저의 사용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시티팝의 세련된 사운드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대표 아티스트

야마시타 타츠로, 마츠바라 미키, 오오타키 에이이치, 나카무라 유타카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시티팝 장르에서 활약했습니다. 이들의 음악은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시티팝은 1980년대 이후로 잠시 주춤했으나, 2010년대 들어 다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시티팝이 전 세계적으로 재조명되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해외에서도 시티팝의 매력에 빠진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시티팝은 다시금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시티팝은 레트로한 매력과 세련된 사운드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시티팝의 영향을 받은 음악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가수는?

시티팝의 대표적인 가수로는 여러 명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몇 명을 소개하겠습니다.

 

야마시타 타츠로 (山下達郎)

야마시타 타츠로는 시티팝의 아이콘으로 불리며, 그의 음악은 시티팝의 전형적인 스타일을 잘 보여줍니다. 대표곡으로는 "Ride on Time"과 "Christmas Eve"가 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마리아 타케우치 (竹内まりや)

야마시타 타츠로의 아내이기도 한 마리아 타케우치는 "Plastic Love"라는 곡으로 특히 유명합니다. 이 곡은 2010년대 들어 다시 인기를 끌며 시티팝의 부활을 이끌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오오타키 에이이치 (大滝詠一)

나이아가라 사운드의 창시자로 알려진 오오타키 에이이치는 독특한 사운드와 멜로디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의 앨범 "A Long Vacation"은 시티팝의 명반으로 손꼽힙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나카무라 유타카 (中村雅俊)

나카무라 유타카는 부드러운 목소리와 멜로디로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의 곡 "Ta・ri・ra"는 시티팝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안리 (杏里)

안리는 "Last Summer Whisper"와 "Cat's Eye"와 같은 히트곡으로 유명합니다. 그녀의 음악은 시티팝의 밝고 경쾌한 면모를 잘 보여줍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이 외에도 마츠바라 미키 (松原みき), 미노야마 타이코 (南佳孝), 사asaki 카즈미 (佐々木一美)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시티팝 장르에서 활약했습니다. 시티팝은 각기 다른 개성과 스타일을 가진 아티스트들이 모여 만들어낸 장르로, 그 다양성과 풍부함이 특징입니다.

 

 


한국에서의 시티팝

일본 시티팝 표절의 흑역사

한국의 대중문화 전성기를 90년대라고들 말합니다. 그런데 안타깝지만 일본 노래의 표절이 유난히 많던 시절인 것도 사실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가수가 인본 시티팝을 피처링하고 표절을 일삼던 시기와 겹친다고 볼수 있습니다. 유튜브와 같은 미디어가 발전하지 못한 시절이라 알려지기 전에 히트곡을 낼려는 음반사의 욕망이 화를 만들어 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한국에서도 시티팝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많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한국 시티팝은 일본 시티팝의 영향을 받았으나, 한국만의 독특한 감성과 정서를 반영하여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레트로 열풍과 함께 시티팝이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아티스트들이 이 장르를 새롭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다음은 한국 시티팝의 보급과 관련된 주요 요소들입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시티팝

이 시기에는 주로 일본 시티팝의 영향을 받은 음악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이문세김현철박혜경이상은 등이 있습니다. 이문세의 "가로수 그늘 아래 서면"과 김현철의 "달의 몰락" 등은 당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한국 시티팝의 선구자는 박학기 노래를 작사작곡한 동아기획의 천재 뮤지션 김현철씨이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현대의 시티팝 리바이벌

2010년대 들어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일본 시티팝이 다시 주목받으면서, 한국에서도 시티팝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습니다. 최근에는 선우정아죠지새소년카더가든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시티팝 스타일의 음악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특히 죠지의 "바라봐줘요"와 선우정아의 "도망가자"는 현대적인 시티팝의 좋은 예로 꼽히고 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레트로 열풍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문화와 스타일이 다시 주목받으면서, 시티팝 또한 그 영향을 받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레트로 열풍은 패션,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결합되어 시티팝의 부활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일어난 80년대의 전자음향 붐, 신스웨이브(synthwave), 레트로웨이브(retrowave), 아웃런(outrun)의 영향을 거치면서 겹쳐 유행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8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 '시티팝(City Pop)'이란 무엇일까요?

 

 

음악 플랫폼과 미디어의 역할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유튜브 등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시티팝이 쉽게 접근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TV 프로그램, 광고, 영화 등에서도 시티팝 음악이 사용되며 대중에게 인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 시티팝은 그 자체로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티팝은 한국 음악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소중한 레전드 사진들의 복원

생생하게 복원된 기록에 남길 흑백 사진들 루마니아 출신의 건축가이자 3D 아티스트인 36세 제신키는 5년 전, 유튜브에서 흑백사진을 컬러로 복원하는 튜토리얼 영상을 보고 조부모님의 흑백사

star.memebro.kr

 

미국 80년대 대중문화 '브레이크댄스'

80년대 미국의 대중문화 80년대는 일본 버블경제 시대에 넘어간 일본의 음악기기와 비디오 보급의 발전으로 미국의 대중문화 역시 대 부흥기의 시대였다. 옛날 SD화질의 영화들은 지금보면 저화

star.memebro.kr

 

LP 레코드판 인싸 놀이 "sleeveface"

추억의 LP판으로 즐기는 인싸 놀이 음악을 공급하는 방식이 LP판에서 CD로 넘어가면서 LP판은 이제 완전히 사라질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CD에서 디지털 음원으로 넘어가면서부터는 음악

star.memebro.kr

 

패션 변천 코리아 (우리가 보낸 그 시절 패션)

한국의 일관성 있는 패션 변천 이는 인터넷 쇼핑이 신속하고 활달한 이유 때문 일수 있다. 한국 문화의 특성상, 남이 입으면 나도 입어야 한다. 그래야 자존감이 선다. 남보다 못한 것을 입을 바

star.memebro.kr

 

80년대 일본 버블경제와 대중문화

시티팝과 비디오 게임의 시대 '일본 버블경제시대' 1980년대 일본의 대중문화는 한국의 90년대와 매우 비슷하다. 그만큼 유행과 대중문화를 따라갔기 때문이기도 하다. 음악, 영화, 공중파 예능방

star.memebro.kr